목표설정 이렇게 하면 실패한다
목표는 목표일 뿐, 계획이 없다면?
작년 이맘때쯤, 저는 독서 100권이라는 큰 목표를 세웠습니다. 하지만 계획이 없어서 그런지 한 해가 다 가도록 책장을 장식만 했습니다. 막상 목표를 세울 때는 큰 의욕이 넘쳤지만, 계획이 없이 "그때그때 시간 날 때 읽지 뭐"라는 태도로 접근했죠. 여러분도 혹시 이런 실수를 하고 계신다면, 지금이라도 세부 계획을 세워보세요. 목표는 방향이고, 계획은 지도가 되어야 합니다.
욕심은 금물! 현실적이어야
직장 동료인 혜진 씨는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나 운동하기라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하지만 단 하루도 목표를 달성한 적이 없다고 털어놨습니다. 평소 8시까지 자던 그녀에게는 무리한 목표였던 겁니다. 우리의 몸은 갑작스러운 변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5시에 일어나려면 7시, 6시 등 조금씩 앞당기며 적응 기간을 줬어야 했죠. 목표는 때로는 도전적일 수 있지만, 너무 비현실적이라면 시작도 못 하고 포기할 확률이 높습니다.
측정 불가능한 목표의 중독
올해 초, 스스로 기분 전환 겸 체중 감량이라는 목표를 세운 적이 있었습니다. 막연하게 '몸무게를 줄이자'는 목표였기 때문에 얼마의 시간을 들였고, 어떤 식으로 진행했는지 확인 불가능했습니다. 나중에 깨달은 것은 구체적인 숫자나 측정 가능한 목표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체중을 5kg 줄이기, 허리 사이즈를 2인치 줄이기 등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목표 관리, 혼자 하시나요?
나에게만 쁘띠 선언하듯 목표를 세우는 것도 문제가 되곤 합니다. 회사의 팀 프로젝트를 생각해보세요. 모두에게 목표를 공유하고 의견을 듣고 지원을 얻는 것이 프로젝트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지난번에 저는 영어 공부라는 목표를 친구들과 공유했고, 그 덕분에 매주 한번씩 친구들과 스터디를 하며 긍정적인 압박감을 느꼈습니다. 주변에 자신감을 가지고 목표를 공유하세요. 진짜 든든한 후원자들이 생깁니다.
실패 없는 목표는 목표가 아니다
목표가 실패할까 두려워 새롭지 않고 안전한 것들만 설정하고 있지는 않나요? 제 친구 주영은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도전적인 목표를 피한다죠. 하지만 성취감은 실패를 통해 더 커지곤 합니다. 실패에서 깨닫고 더 나은 목표 설정이 가능해집니다. 저도 제주도 한 달 살기를 목표로 했다가 여러 가지 준비가 부족해 실천하지 못했는데, 그 경험 덕분에 지금은 제주 여행 계획이 한층 더 치밀해졌죠. 실패는 나아가게 하는 에너지가 됩니다.
지속 가능성 없는 목표
목표에도 유통기한이 필요하다는 걸 아시나요? 한때 다이어트를 위해 하루에 고단백 식단만 고집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지쳐서 지속할 수 없었죠. 결국 꾸준히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결국 다양한 식단을 적용하고, 일주일에 한 두 번쯤은 휴식하는 방식으로 지속성을 확보했습니다. 여러분도 목표를 설정할 때 지속 가능성을 포함하셨나요?
목표를 잊지 마세요
목표를 수첩이나 캘린더에 적어놓고 며칠간 까먹은 건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시작은 갤러리를 활짝 열어 새로운 목표를 배치하지만, 결국 여러 일정에 묻혀 잊히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저는 휴대폰 배경화면에 목표를 저장해 두거나 매주 다시 확인하곤 합니다. 매일 짧게라도 요소를 상기시키는 것이 내 위기 순간에도 건강한 방향성을 유도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마음에 새기세요. 목표는 헛되지 않습니다. 그저 바르게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실행할 환경과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죠. 목표설정은 마치 경험 위를 걸어가는 과정입니다. 다양한 실수를 통해 결국 여러분을 바른 곳으로 인도할 것입니다.